천문학 아는 체하다 저자 제프 베칸출판 팬덤북스 발매 2020.03.20。
천문학 아는 체하다 저자 제프 베칸출판 팬덤북스 발매 2020.03.20。

고등학교 3학년 때 지구과학을 선택했다. 결국 지구과학을 끝까지 이해하지 못한 채 수능 때는 화학을 봤는데… 그때의 아쉬움이 남은 탓인지 왠지 이 책을 읽게 됐다.이 책을 보고 읽어야겠어! 라고 결심한 건
책의 첫 페이지에서 읽은 ‘만약 이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이 개념 자체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글 때문이었던 나는 천문학 전공자도 아니고, 관련 서적을 읽었다고 해도 어차피 완벽하게 이해할 수 없는데 이 글이 내 마음을 신기하게도 편하게 해줬어~ 천문학을 업으로 공부하는 사람들도 이해가 안 된다니~ 내가 이해가 안 되는 건 당연하지~ 이런 안도감을 줬다고 할까~..ㅋㅋㅋ 실제로 책을 읽으면서 오~아~ 하고 이해하고 확실히 알게 된 개념도 있는데 오~ 무슨 뜻인지 전혀 모르겠어~~~ 하면서 쿨스루 한 부분도 있다.교양서에서 가볍게 읽은 걸^^…그래도 확실히 간단한 말로 설명돼 천문학에 입문하려는 사람에게 딱 맞는 책이다!

Isaac Newton(아이작 뉴턴)이 나와 같은 사람이라니!
아이작·뉴턴이 사과 나무에서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중력에 대해서 의심, 만유 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사실은 누구나 아는 것이다.이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말하면 뉴턴은 사과를 땅바닥에 내려놓다 힘이 행성이 일정 궤도에 따라서 태양의 주위를 도는 힘과 같다는 사실을 찾아낸 것이다.더욱이 뉴턴은 중력과 관성의 법칙을 이용하고 지동설을 입증했다.달에는 지구의 중력에 의하여 운동량과 달의 운동 상태( 움직이는 상태)에 의한 운동량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궤도를 유지한다.마찬가지로 행성과 태양의 관계도 증명한.뉴턴은 나와 같은 사람, 즉 같은 종류의 동물인데…이래봬도 왜 이런 생각을 했지?현 시대처럼 이미 선대 과학자들이 밝힌 바 있다, 그것에 생각을 더 싣고 복잡한 개념을 설명한다면 혹시 그럴지도 모른다- 하는 생각이 든다.그러나 뉴턴이 살던 시대에는 과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무에서 유를 창조·발견· 이루는 학문이었던 것이다.대부분의 사람이 전혀 생각한 적이 없음을 과학적으로 접근해서 과학에 거대한 선을 긋는 사람···과연 이 사람이 정말 나와 같은 “인간”이라고?wwww이런 사람은 도대체 어떻게 세상에 태어나는지…?라는 경이가 저절로 나온 천문학에 흥미를 느끼는 이유

태양계에 관한 제2장을 읽은 뒤 천문학자들이 왜 천문학에 흥미를 느낄지 조금은 알게 되었다.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이 세계 전체가 도대체 어디서 어떻게 태어났을까?에 대한 호기심, 지금까지 드러난 우주에 대한 신비와 경이···저의 전공인 생물은 미시적”개체”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주로 초점을 맞추면(물론 분야에 의해서 천차 만별이지만!)천문학은 세상 전체를 대상으로 “도전”에 가까운 학문이라고 생각했다.기독교를 종교로 가지고 있는 나에게는 세상의 시작은 “태 초에 하느님이 천지를 창조할 것인가”라는 구절에서 시작된다.그러나 천문학은 그것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증명하고 그 시작과 끝을 인간의 능력에서 밝히겠다고 하는 학문이다.그래서 천문학은 신에 대한 도전으로 볼 수 있다.세상의 근원과 종말이 언젠가 우리의 먼 후대의 사람들에 하나하나 밝혀질 수도 있다, 아니면 인간에게는 영원히 풀리지 않는 불가사의로 남는 것도 있지만 그 결과가 어떻게 되면 인간은 끊임없이 이 학문에 도전하고 매달리는 것이다.그것이 인간의 본능이며, 인간의 욕구이기 때문이다.내가 다니는 교회에 천문학 박사 과정을 다니는 오빠가 있지만 그 분께 왜 천문학을 공부하게 됐는지 꼭 들어 봐야 할 지식의 끝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작가는 사회인류학자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경의 말을 인용한다.지식의 진보는 영원히 멀어지는 목표를 향해 무한히 전진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가는 이 인용구 뒤에 한마디 덧붙인다. 우리의 지적 목표는 우리의 이해를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이해를 계속 확대하는 것이어야 한다.제프 베칸 천문학 아는 체

바로 이것이 내가 책을 읽는 이유이고 그래야 한다.우주가 태어난 최초의 특이점으로부터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으며, 그것에는 중심이 없다.다시 말해 우주의 어느 지점이든 중심이 될 수 있는 것이다.우주는 거의 모든 부분이 동시에 우주의 다른 부분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우주의 어떤 곳에서도 중심이 될 수 있다.따라서 작고 잠시 머물다 사라지는 ‘나’일지라도 우주의 중심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우주 속 유일한 존재다.우리 모두가 우주의 중심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고 각자 자신을 기준으로 어제의 나, 작년의 나를 뛰어넘기 위한 노력으로 충분하다.모든 것은 계속 변화하기 때문에 지식에 대해 완벽함을 추구하기보다는 ‘확장’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나아간다면 나의 존재가치는 이 세상에서 충분히 달성했다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 천문학적 지식도 물론 얻게 되었지만(정말이다… 월식/일식 이제 확실히 구분할 수 있다!!! 삶을 대하는 자세를 많이 생각하게 된 책이다.확실히 이 책에는 천문학의 기초지식이 가득했는데… 인간이 이 광대한 우주 속에서 정말 작은 존재라는 것을 느꼈기 때문인지, 다음에 다시 천문학 책을 읽어보고 싶을 정도로 천문학이 흥미로운 학문이라고 느꼈기 때문이다! 좋은 깨달음을 얻었다고 생각하고… 세 번째 북리뷰 종료!